구미상공회의소(회장 윤재호)가 2024년 11월 19일부터 12월 2일까지 지역 내 10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‘2025년 구미 수출전망 및 대내외 리스크, 경영계획 환율․금리’ 조사를 실시하였다.
|
|
|
↑↑ 구미상의 제공
|
|
구미 제조업체의 37.6%는 올해 수출이 작년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응답하였고, 이어 36.7%가 감소, 25.7%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.
이들 응답업체의 2025년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‘트럼프 2기 통상정책(34.3%)’을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라고 응답했으며, ‘유가·원자재가 변동성’ 14.2%, ‘전쟁 등 지정학 긴장 장기화’ 12.7%, ‘韓수출·산업경쟁력 약화’ 12.3%, ‘중국 내수 침체’와 ‘고환율 기조’가 각각 9.8%, ‘세계 공급망 재편·블록화’ 5.4% 순으로 나타났다.
올해 내수 판매의 경우 구미 제조업체의 48.0%가 전년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, 이어 작년과 비슷한 수준 36.3%, 증가 15.7%로 나타났다.
이와 같은 내수 판매 전망 속에서, 2025년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대내 리스크 요인으로는 응답업체의 29.7%가 ‘물가 변동성 확대’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, ‘경제·사회 양극화 심화’ 28.7%, ‘가계부채 심화’와 ‘건설·부동산 시장 위축’이 각각 10.4%, ‘기업부담 입법 강화’ 8.9%, ‘고령화 등 내수구조 약화’ 4.5%, ‘노사갈등 리스크’ 3.0% 순으로 나타났다.
구미 제조업체의 2025년 경영계획 수립 환율은 달러 당 평균 1,346원으로 2024년 수립 환율(1,263원)대비 83원 높게 나타났으나, 현재 환율(한국은행 올해 1월말 기준)은 1,453원으로 기업의 전망치보다 약 107원 높아 원자재와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게는 큰 타격일 것으로 예상되며, 자금조달 금리 전망치는 3.69%로 현재 중소기업 대출금리보다 다소 낮게 전망하였다.
‘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어떻게 전망 하는가’라는 질문에 응답업체의 87.3%는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2.0%미만으로 내다봐 정부를 비롯한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(2.0~2.5%)보다 낮게 전망하였으며, 이어 ‘한국 경제가 언제 회복 될 것으로 예상되는가’라는 질문에는 올해(2025년)부터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36.3%로 가장 많았다.
또한, 한국경제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는 ‘인플레이션(물가) 관리(29.1%)’가 가장 많았으며, 이어 ‘수출확대 및 공급망 강화’ 22.7%, ‘기업부담입법·규제완화’ 16.7%, ‘가계·기업 부채관리’ 10.3%, ‘성장 잠재력 확대(저출산·고령화 해결)’ 7.9%, ‘미래전략산업 지원강화’ 5.4%, ‘탄소중립·에너지 안보’ 4.9% 순으로 나타났다.
구미상공회의소 심규정 경제조사팀·기업유치팀장은 지난해 구미는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도 수출 283불을 기록하였고, 꾸준한 투자유치는 물론, 인구 감소세도 완화되고 있지만 올해는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통상환경이 더욱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여 기업에서는 환율리스크 관리 강화, 수출시장 다변화 등 자구책을 마련하는 한편, 구미시에서는 올해부터 늘어난 수출보험료 예산 확대처럼 기업이 가려운 부분에 지원을 늘리고, 국책사업 유치 이후 더욱 촘촘한 수혜전략을 짜야한다고 당부하였다.
|